본문 바로가기

건강생활

골다공증의 예방 및 이학요법,식사요법,전도예방

◎ 골다공증 예방

골다공종의 예방과 치료의 목표는 골절의 방지 입니다.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중요합니다.

  • 성장기에에는 골량을 증가시켜 높은 골량수치를 갖도록 할 것.
  • 폐경후 여성은 골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저골량자 및 급속한 골량감소자를 조기에 스크리닝하여 골량이 더욱 감소하는 것을 예방할 것.
  • 고령자는 골량을 유지하는 동시에 넘어져서 고절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.

◎ 이학요법

  • 운동요법: 골다공증의 예방, 골량증가를 위해서는 적당한 운동이 중요합니다. 고령자의 경우 산책 및 가벼운 운동은 근육 및 관절의 유연성을 높이면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. 그러나 운동요법의 실시는 심질환 및 폐질환, 고혈압 등의 합병중에 주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의사의 지시에 따릅니다.
  • 물리요법: 온열요법, 광선요법, 전기요법, 마사지 등은 만성동통의 개선에 유요합니다.
  • 장구요법: 체간균형이 나쁜 경우에는 지팡이나 운동화의 사용을 지도하고 미끄럼방지 매트를 설치합니다. 엉덩이보호대는 넘어졌을 때 충격을 완화하기 때문에 대퇴경부 골절의 예방에 효과적입니다.


◎ 식사요법

  • 골량유지를 위해서는 균형잡힌 식사가 중요하며, 단백질, 칼슘, 칼륨, 마그네슘, 비타민C/D/K를 충분히 섭취하고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  • 폐경후와 노년기의 골량감소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최저 800mg/day 이상의 칼슘이 필요하여 골다공증 치료를 위해서는 더욱 많이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. 다만, 건강상 악영향이 없는 칼슘의 최대섭취량은 2,500mg/day 입니다.

◎ 전도예방

  • 전도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이에 따라 골절의 발생률도 증가합니다. 때문에 골절예방책으로서 전도예방은 중요합니다. 또 고령자의 QOL 유지관점에서도 중요합니다. 전도의 위험인자로는 신체기능에 관련된 것만 이 아니라 약물 및 가령변화, 물적환경도 들 수 있습니다.